🔹 대칭 키 암호화 방식은 암호화와 복호화 시 같은 암호 키를 쓰는 암호화 방식이다.
🔹 공개 키 암호화 방식은 암호화와 복호화 시 서로 다른 키를 쓰는 암호화 방식이다. 한 키로 암호화했다면 다른 키로 복호화 할 수 있다.
🔹 공개 키 인증서는 공개 키와 공개 키의 유효성을 입증하기 위한 전자 문서이다. CA라는 인증서 발급 기관을 통해 인증서를 검증할 수 있다.
🔹 개인 키로 암호화된 메시지를 공개 키로 복호화함으로써 신원을 증명하는 저랓를 디지털 서명이라 부른다.
🔹 SSL과 TLS는 인증과 암호화를 가능하게 하는 프로토콜이다. 이 중에서 TLS는 SSL을 계승한 프로토콜이며, 오늘날 SSL/TLS를 사용하는 가장 대표적인 프로토콜은 HTTPS가 있다.
🔹 TLS 핸드셰이크를 통해 암호화에 사용할 키와 인증서를 주고받을 수 있다.
🧡 p.379 확인 문제 1번
답 : 3588415413
🧡 p.407 확인 문제 2번
답 : ③ ServerHello
🧡 6주차 회고
회사에서 웹 취약점 관련하여 조치 중인데 업무를 할 때는 일을 처리하기에 급급했는데 책을 통해서 자세히 알게 되어서 기쁘다. 벌써 6주라는 시간이 흘렀다. 초반에 비해 열정적으로 임하지는 못했지만 혼공학습단을 통해 네트워크에 대해 공부할 수 있어서 매우 유익한 시간이었다.
'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혼공네트] 혼공학습단 12기 활동 회고 (0) | 2024.08.18 |
---|---|
[혼공네트] 5주차_Chapter 05 응용 계층 (0) | 2024.08.10 |
[혼공네트] 4주차_Chapter 04 전송 계층 (0) | 2024.07.28 |
[혼공네트] 3주차_Chapter 03 네트워크 계층 (0) | 2024.07.21 |
[혼공네트] 2주차_Chapter 02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 (0) | 2024.07.14 |